그 동안의 용접과 필렛 용접
·
용접
오랜만입니다 ㅋㅋㅋ 많이 연습해서 왔습니다!!  일단 제가 긁어때우기 하면서 느낀 것좀 정리해볼게요 1. 불 세기너무 쎄다 : 언더컷 바로 남 약하다 : 쇳물 안녹음2. 항상 위빙은 일정하게, 그렇지 못하다면 쇳물을 보며 움직이자3. 수평으로 떼울 경우 : 중력으로 인해 쇳물이 밑으로 흐름. 따라서 위쪽에 있는 시간을 많이 주고 아래쪽은 살짝만.4. 수직으로 떼울 경우 : 너무 느리게 가면 쇳물이 밑으로 계속 쌓임. 적당히 빠르게 올라가자 대충 요 네 가지 인데, 이 것만 알아도 용접의 "ㅇ" 은 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   긁어때우는 건 이제 끝내고 필렛 용접으로 넘어왔습니다. ㅋㅋㅋㅋ 감격스럽네요...   필렛 용접은 테크해서 붙여놓고 그다음 해야되여. 왜냐면 고정되있지 않은 상태로 용접하면..
첫 번째 아크 용접
·
용접
일단 시작은 했는데, 생각보다 넘 어렵다... 그리고 엄청 뜨겁다................ 아부지 존경합니다.  내 첫 작업물. 그냥 긁어떄우기만 했는데도 넘 어려운 것 같다. 아부지 비드랑 확연히 차이가 남.내 것도 처음 치곤 나쁘지 않다는데, 계속 기포도 생기는 것 같고 비드가 일정하지 않음;;  이거 모두 채우는데 얼마나 걸렸게요...?? 저는 무려 3시간이 걸렸습니다.... 숙련자 분들은 30분이면 다 떼운다고 하더라고요 ㅋㅋㅋ ㅠㅠ 실제로 아버지도 하나 긁어 때우는데 1분 조금 넘게 걸리는 것 같음 ㅠㅠㅠ 그래도 생각보다 뿌듯하고 재미있는 것 같아서 열심히 해봐야겠씁니다!!! 가스기사를 향하여..
Spring 예외처리 기본 원리와 어노테이션
·
[Spring] - 멘토링/개념
스프링을 공부하다 보니, 예외처리가 상당히 중요한 것 같습니다.따라서, 스프링 예외처리에 관한 공부 기록을 남겨봅니다! Spring 예외처리는 어떻게 할까요?" @Controller 및 @ControllerAdvice 클래스는 컨트롤러 메서드에서 발생하는 예외를 처리하기 위해 @ExceptionHandler 메서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. "스프링 공식 문서를 보면 이렇게 써져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예외 처리의 기본 원리를 알아보겠습니다. 그 전에, @ExceptionHandler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!@ExceptionHandler@ExceptionHandler 메서드는 컨트롤러 메서드에서 발생하는 특정 예외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.@RestControllerAdvice와 함께 사용하여 전역 예외 처리를 구..
계층형 패키지 구조 vs 도메인형 패키지 구조
·
[Spring] - 멘토링/개념
스프링에 대해 공부하다 보니, 패키지 구조 또한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느낍니다.해서, 계층형 패키지 구조와 도메인형 패키지 구조의 모양과 장단점을 간단히 정리하고자 합니다.1. 계층형 패키지 구조controller ⎿ UserController ⎿ LottoController service ⎿ UserService ⎿ LottoServicedto ...domain ...장단점패키지만 보면 전체적인 구조 파악 가능합니다.계층별 응집도가 좋습니다.but 도메인별 응집도는 낮습니다.(하나의 패키지 안에 여러 도메인이 섞여있음.)규모가 커지면 가시성이 떨어집니다. 2. 도메인형 패키지 구조User ⎿ UserController ⎿ UserService ⎿ UserDto ..
HTTP 상태 코드 정리
·
[Spring] - 멘토링/개념
### HTTP 상태 코드* 200 OK: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.* 201 Created: 리소스가 성공적으로 생성되었습니다.* 204 No Content: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으나 반환할 데이터가 없습니다.* 400 Bad Request: 잘못된 요청입니다.* 401 Unauthorized: 인증이 필요합니다.* 403 Forbidden: 권한이 없습니다.* 404 Not Found: 요청한 리소스를 찾을 수 없습니다.* 500 Internal Server Error: 서버에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. 이제 슬슬 HTTP 상태 코드 외울 때도 되었는데, 조금씩 헷갈리는 것 같아 정리해봅니다. ㅠ
HTTP 메서드에 관해서
·
[Spring] - 멘토링/개념
HTTP 메서드란?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에서 사용되는 일종의 규약입니다. 각 메서드는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며, RESTful 서비스에서 리소스 조작을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. HTTP 메서드는 CRUD(Create, Read, Update, Delete) 기능을 제공합니다.1. GET - 서버에서 리소스를 조회. * 안전성: 서버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. * 멱등성: 동일한 요청을 여러 번 수행해도 결과가 동일. * 캐싱: GET 요청은 캐싱할 수 있다.2. POST - 서버에 새로운 리소스를 생성. * 안전성: 서버 상태를 변경. * 멱등성: 동일한 요청을 여러 번 수행하면 여러 개의 리소스가 생성될 수 있음. * 캐싱: 일반적으로 캐싱하지 않음.3. PUT - 서버의 기존..
REST API 설계 규칙!
·
[Spring] - 멘토링/개념
설명하기에 앞서, RestFul에 대해 헷갈리신다면 여기 한 번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!URL 설계리소스: URI는 리소스를 표현합니다. ex) 사용자를 표현하는 URI = /members.컬렉션: 복수형 명사를 사용하여 리소스 컬렉션을 표현합니다. ex) /members (모든 사용자)리소스 인스턴스: 특정 리소스를 표현하기 위해 식별자를 사용합니다. 예: /members/123 (ID가 123인 사용자) @PathVariable 같은 어노테이션과 함께 공부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!RestAPI 설계 규칙URI는 정보의 리소스를 표현합니다. ** 행위에 대한 표현이 아닌 리소스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, 리소스명은 동사보다는 명사를 사용한다. **리소스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로 ..
RestFul 에 관하여
·
[Spring] - 멘토링/개념
RestFul 을 알려면, Rest 에 관하여 알아야 합니다.REST 란?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 네트워크 아키텍처 원칙을 기반으로 한 웹 서비스 디자인 방식입니다. REST 는 리소스를 기반으로 한 설계 철학을 따르며, URI을 통해 식별됩니다.(리소스 기반 URL) --> 쉽게 말해, REST는 네트워크 상에서 Client와 Server 사이의 통신 방식 중 하나이고, 이미지나 텍스트 같은 자원들을 JSON 혹은 XML 형식으로 URL 통해 주고 받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!REST 의 주요원칙Client–server 구조 :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서로 독립적이어야 하며, 클라이언트는 url만 알아야 한다. 그리고,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인터페이스..
용접 시작..!
·
용접
군대 전역 후 아버지 일을 도와드리며 용접이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가르쳐달라고 했다 ㅋㅋㅋㅋㅋ  요기가 아부지 작업실  이건 내가 쓸 용접기들 ㅋㅋㅋㅋㅋ알곤 용접기하고 아크 용접기가 준비되어 있다. 일단 최종 목표는 가스기사 따는 것...!! 왜냐믄 아버지 일 도와드리면서 주워들은 것도 많고 보는 것도 많으니 아까워서라도 따자는 마음이 들었다 !!  이왕 시작한거 열심히 해봐야지~~
(1)스프링 스터디 : 레이싱카 - 콘솔
·
카테고리 없음
이제 드디어 스프링을 해 볼 차례다 !! 일단 계산기, 로또로 다져진 실력을 레이싱카 미션에 적용시켜 보았다. 결론부터 말하자면 실력이 많이 늘었다는게 느껴질 정도였다. 쉬웠음!!  일단 문제 조건은 요렇다.  그리구 내 패키지 구조 이제 내가 작성한 코드를 소개해보겠다.*exception 패키지 - CustomException은 여기서 처음 구현해보았다. 정석적인 CustomException은 아님. - CustomErrorCodepackage com.racing.common.domain.exception;public enum CustomErrorCode { EXCEPTION_RANGE("차 이름 너무 긺"), EXCEPTION_CAR("차 없음"); private final Strin..